비만은 체내에 지방 조직이 과다한 상태를 말합니다. 체중은 많이 나가지만 근육량이 증가해 있고 지방량이 많지 않은 경우는 비만으로 부르지 않습니다.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가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정의합니다.
오랜 기간에 걸쳐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영양소를 과다 섭취할 경우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 비만이 유발됩니다.
유전적으로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식욕 조절 중추 기능에 문제가 있거나, 쿠싱증후군과 같은 내분비 질환, 식욕을 증가시키는 다양한 약제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에너지 섭취량이 에너지 소비량보다 커서 발생합니다.
일반적인 비만의 경우 유전적 영향 및 환경적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합니다. 특히 칼로리가 높은 식품이 풍부하고 신체 활동을 덜 해도 사는데 불편이 없는 현대의 생활환경이 비만의 폭발적 증가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증상은 없습니다. 그러나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사적으로는 고혈당, 고혈압, 고지혈증이 발생할 수 있고, 심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 관절 질환, 생식 관련 질환, 지방간, 담석증 등이 동반될 수 있으며, 일부 암의 발생도 증가합니다.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가 30 kg/m2 이상일 때 비만으로 진단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논란은 있으나 25 kg/m2 이상으로 정의함) 체질량지수는 kg으로 표시한 체중을 m로 표시한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입니다. 복부비만은 허리둘레가 남성 102 cm (우리나라는 90 cm), 여성 88 cm (우리나라는 85 cm)를 넘는 경우를 말합니다.
직접 체지방량을 측정할 수도 있는데 다양한 영상 검사 및 생체 임피던스 검사 등이 이용됩니다.
비만으로 인해 당뇨병 및 고지혈증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지고, 성기능 장애, 관절염,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위험이 커집니다. 담석증이 생길 수 있으며 일부의 경우 암의 발생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비만 예방에 가장 중요합니다. 비만은 개인의 생활 습관 문제 뿐만 아니라 사회 환경(패스트푸드, 대중교통 발달, 좌식 생활 증가 등)의 영향도 있으므로, 국가적 차원에서 이에 대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운동을 위해 특별히 시간을 내기 어려운 경우에는 일상생활을 하는 동안 활동량을 최대한 늘리도록 합니다.
예를 들면 가까운 거리는 걸어 다니고, 승강기 대신 계단을 이용하는 것 등이 가능합니다.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강화하기 위해 몇 가지 실천사항을 정하여 꾸준히 실행하는 행동요법도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매일 체중을 측정하면서 의욕을 다지고 과식을 피하기 위해서 작은 접시를 사용하거나 텔레비전 앞에서 간식을 먹지 않는 것 등이 모두 행동요법의 일종입니다.
하루 총 섭취 칼로리에서 500 kcal를 줄이면 체중이 1주일에 약 0.5kg 감소할 수 있습니다. 섭취하는 열량을 줄이기 위해 저칼로리 식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당뇨병, 고지혈증, 성기능 장애, 관절염, 심혈관계 질환, 담석증, 암.